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몇 년도에 생산된 에어컨인지에 따른 전기세 절약 방법_하루 종일 켜놔야 오히려 절약돼요_전기세 절약 방법 꿀팁

나의 관심사 이모저모

by 힁힁 2022. 7. 14. 10:30

본문

반응형

천장형_에어컨이_작동되고_있다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

 

몇 년도에 생산된 에어컨인지

에어컨 전기세(냉방비) 절약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집에서 사용하는

에어컨이 정속형인지 인버터형인지를

먼저 확인해봐야 한다.

이 두 타입을 구분하는 방법은

생산년도 /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 냉매

이렇게 3가지가 있다.


<정속형 에어컨>

- 2011년 이전 생산

 

- 에너지 소비효율: 5등급

 

- 냉매: R-22

(안전관리법에 의한 표시 스티커에

냉매 항목 쓰여있음)

 

<인버터형 에어컨>

- 2010년 이후 생산

 

- 에너지 소비효율: 1~3등급

(2018년 10월부터는 기준 강화로 인해

3~4등급으로 표시됨.)

 

- 냉매: R410A

(안전관리법에 의한 표시 스티커에

냉매 항목 쓰여있음)

 

- 에어컨 본체에 INVERTER라고 쓰여있음.

 

 

에어컨_리모컨_화면에_파워모드라고_쓰여있다
처음 켤 때는 파워모드로 설정한다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

1. 처음 전원을 켜고 파워모드(강풍)로 설정

실내 공기 온도를 빠르게 낮춰준다.

대략 3~5분 정도.

 

2-1. 정속형 에어컨:

온도를 높이지 않고 강한 모드를

1~2시간 이상 유지시켜 에어컨을 사용하고

이후 다시 전원을 끈다.

이렇게 필요 시마다 위의 방법으로 사용한다.

 

2-2. 인버터형 에어컨:

파워모드 이후 공기가 차가워졌다 싶으면

원하는 온도로 설정해 계속 켜 둔다.

(ex: 26도 + 바람세기 약하게로 설정)

 

에어컨_리모컨_화면에_26도라고_써있다
희망 온도 26도 + 바람세기는 약하게

 

 

3. 인버터형 에어컨:

잠깐 외출하는 경우에는(2시간 이하)

설정한 희망온도를 계속 유지시켜서

에어컨의 전원을 끄지 않는다.

오히려 켜고 끌 때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창문형 에어컨은

때마다 켜고 끄는 것이 알맞다.*

 

4. 요리할 때와 같이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도

에어컨의 전원을 끄지 않은 채

창을 열어 환기시킨다.

 

5. 에어컨 사용 시 선풍기도 함께 사용해주면

전력을 20~40% 절약할 수 있다.

 

6. 에어컨 전원을 끄기 전에

공기청정 혹은 송풍 기능을 사용

에어컨 내부를 건조해 준다. (1시간 정도)

(에어컨마다 자동 건조 기능이 있지만

작동 시간이 짧아 충분하지 않다.)

 

7. 에어컨 필터 청소를 잘해준다.

최소 2주에 한번 최대 한 달에 한번

 

8. 실외기 온도를 낮춰준다.

전용 알루미늄 커버를 사용해

과열을 방지하고 햇빛 노출을 막아주면 좋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