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를 끓일 때 생기는 물질인 하얀 막을
유청이라고 하며 이 유청에서 추출한
순수 단백질을 바로 유청 단백질이라 한다.
이 유청 단백질은 물에 쉽게 녹아
다른 단백질(콩류, 육류)보다도
소화 흡수가 빨라 운동 후에 섭취해주면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근육 형성과 유지>
운동 30분 후에 섭취하여 운동으로 인한
군 손실을 예방하고 회복시킬 수 있다.
<노화로 인한 근 감소증 방지>
보통 나이가 들면서 근육이 감소하는데
근 감소는 고관절 약화와 허리디스크와도
연관이 있어 뼈 건강을 위해서라도
일찌감치 꾸준한 단백질 섭취가 중요하다.
<면역력 강화>
면역 체계에 있어 우리 몸의 필수 요소인 단백질은
면역력 유지,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유청 단백질은 순수 단백질로써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글루타티온의 생산을 촉진해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준다.
<체지방 감소>
유청 단백질은 식욕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콜레스테롤키닌을 분비시키는데
이는 빠른 소화 흡수로 인해 포만감을 높여주어
자연스레 식욕 조절에 도움이 된다.
<당뇨 예방>
유청 단백질은 인슐린 분비를 원활하게 해 주어
당뇨병 환자에게 도움을 준다.
<불면증 완화, 치매 예방>
L-크립토판이라고 불리는 아미노산이 풍부해
불면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인지 기능을 향상하고,
뇌로 가는 혈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 주어
치매 예방에 도움을 준다.
다이어트를 하면서 운동 후 단백질 섭취가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고,
그래서 단백질 파우더에 대해 알아보던 중
유튜브에서 아래의 채널 영상을 보게 되었다.
그래서 나의 첫 단백질 보충제로 선택된
[독일 저먼프로트8000 농축 유청단백질 WPC]
보통 초코맛, 바나나맛 등 여러 맛을 내어
판매되는 단백질 제품들이 많은데
[독일 저먼프로트8000 농축 유청단백질 WPC]은
인공감미료 없이 99.9% 순수 단백질로만
이루어져 있는 제품이라 신뢰가 갔다.
다이어트하며 최적의 몸을 만들기 위해
보충제를 먹는 건데 이왕이면 더더
건강한 제품을 선택하는 게 맞지 싶었다.
인공 감미료가 첨가되지 않았다고 해서
맛이 별로면 어쩌지 싶었지만 다행히도
내 입에는 충분히 맛이 좋았다.
인공적인 달달함이 아닌 정말 순수한 달달함.
마치 쌀밥을 오래 씹으면 올라오는 달달함 같은-
파우더 입자도 고와서 꼭 아기 분유 같기도 하다.
(맛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개인적으로 과자 중에 우유맛 로아커 웨하스를
좋아하고 또 아기 베베 쿠키도 정말 좋아하는데
비교하자면 이런 류의 맛인데 좀 덜 달뿐이다.
나는 운동과 샤워를 마치고 나서
보통 물에 타 먹고 있고
(동봉된 스푼으로 2스푼 + 물 150ml)
좀 더 진하게 먹고 싶을 때는
물 대신 우유에도 타 먹고 있다.
↓ 유청단백질 보충제 바로가기↓
독일 포대유청 저먼프로트 8000 GermanProt WPC
COUPANG
www.coupang.com
개인 적으로 맘에 드는 점은
자리 차지하는 큰 플라스틱 용기가 아닌 것.
그리고
입구가 지퍼백이 아닌 찍찍이로 되어있다는 것.
이 두 가지이다.
포대(라고 해야 하나)로 포장되어 있기 때문에
자리를 많이 차지하지 않고
무엇보다 솔직히 지퍼백 여닫을 때 좀 성가신데
찍찍이라 금방 열고 닫는 것도 엄청 쉽다.
솔직히 부작용이라고 할 것까진 없지만
혹시나 유당불내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유청 단백질 섭치를 권하진 않는다.
위 설명처럼 우유에서 추출한 유청의 단백질이므로
평소 유제품 소화에 어려움을 겪었다면
유청 단백질이 맞지 않을 것이다.
차라리 분리유청단백질(WPI) 혹은
식물성 단백질 파우더를 먹는 것이 더 좋겠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지만 정말 내돈내산 찐 후기이기도 합니다!
뚱보균 자가진단 하기 / 뚱보균 없애는 방법 5가지 / 살 안찌는 체질로 바꾸기 (0) | 2022.07.31 |
---|---|
다이어트에 좋은 지방 적은 고기는? (+육류별 단백질 함량 / 칼로리) (0) | 2022.07.30 |
복부팽만감, 가스참, 더부룩한 사람들 이런 음식은 피해주세요! (1) | 2022.07.28 |
다이어트에 좋은 탄:단:지 황금 비율과 섭취량_탄수화물, 단백질_하루 권장 섭취량 (2) | 2022.07.22 |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의 효과적인 섭취 비율!_단백질 식단 (0) | 2022.07.21 |
댓글 영역